대전경찰청(청장; 송정애)은 4. 29일 오전. 도경찰청 한밭홀에서 ‘자치경찰제 안착을 위한 현장의견 청취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김순은 자치분권위원회 위원장, 강영욱 대전시 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 등 5명의 위원과 사무국 담당자 및 대전경찰청 직장협의회 회장단(7명) 등 총 20여명이 참석했다.
간담회는 지난 4. 29일 대전시자치경찰위원회가 정식 출범했고, 시범시행을 거쳐 7. 1일 공식 시행이 예정 됨에 따라 지역의 맞춤형 자치경찰제의 안착을 위한 협력·발전 방안을 논의하기위해 전국 최초로 기획됐으며, 특히 처음 도입되는 자치경찰제 시행에 따른 사무 부담 등 현장 경찰관들의 우려와 애로사항에 대한 건의 및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김순은 자치분권위원장은 “현 정부의 주요 기조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협력과 균형으로 법령 상 이제 치안도 국가뿐만 아니라 지자체의 책무인 만큼 대전 시민들을 위해 대전경찰청과 대전시가 협력하며 자치경찰제가 성공적으로 안착되게 해 주실 것을 기대하며, 자치분권위원회에서도 관계기관과 함께 협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강영욱 자치경찰위원장은 “대전시 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을 맡게 돼 그 책임감이 무겁고, 출범식 이후 첫 행사로 자치경찰을 이끌어 가는 현장 경찰관들의 의견을 듣게 되는 기회를 갖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 앞으로 현장 경찰들과 긴밀히 소통하며 대전 시민의 안전과 평온을 최우선으로 하는 치안 환경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경찰청 최양선 직장협의회장 등 각 경찰서 직협회장단은 “관련 중요한 정책 결정에 있어서 현장 경찰관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자치경찰위원회와 현장 경찰관의 소통 창구를 만들어 주시길 바라며, 자치경찰사무 수행 경찰관에 대한 사기 진작 방안을 검토해 줄 것”을 제안하는 등 현장 경찰관의 우려를 반드시 해소해 줄 것을 요청했다.
송정애 대전경찰청장은 “이번 간담회는 전국 최초로 대통령 직속 자치분권위원회, 대전시 자치경찰위원회와 대전 현장경찰이 합동으로 자치경찰제의 발전을 고민하는 매우 의미있는 자리였다,며 이제 시범운영을 통해 자치경찰제의 핵심 동력인 현장경찰이 우려할 수 있는 문제점을 적극 보완·개선해 대전형 자치경찰제가 안착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국경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경찰청]미국 국토안보수사국 (0) | 2021.05.02 |
---|---|
[경기구리경찰서]교문지구대 ‘보이스피싱 알리미’ 홍보 실시 (0) | 2021.05.01 |
[기고]공연음란? 과다노출? (0) | 2021.04.30 |
[기고]CCTV 영상제공과 개인정보보호법 (0) | 2021.04.30 |
[인천삼산경찰서]경찰관의 현장경험 직감으로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0) | 2021.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