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찰

[경기남부경찰청]신호체계 등 맞춤형 개선결과

폴리스타임즈 2022. 8. 24. 16:08
728x90

출퇴근 상습정체 해소 ‘주민만족 UP’

 

"시행 후 6개월 정체교차로 89개소 개선결과. 평균 정체시간 53.9% 감소, 경제적 효과 2,896.7억원 발생"

 

경기남부경찰청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는 주민과 함께하는 교통안전시설 개선계획의 일환으로 출퇴근 편의 향상을 위해 상습 정체구간 개선활동을 추진 중이다.

 

’21년 경기연구원 연구결과에 따르면 승용차를 이용해 출퇴근하는 주민들의 가장 큰 스트레스 원인이 도로혼잡(60.8%)인 것으로 나타나 주민들의 숙원인 출퇴근 정체해소를 위한 대책이 필요했다.

 

도로혼잡(60.8%), 주차공간부족(17.0%), 원거리(8.3%), 요금과다(4.8%)

 

이에 경기남부경찰청은 지난 221일 시행된 상습 정체구간 소통 합리화 계획따라 출퇴근시간대 통행속도 30km/h 이하인 교차로(225개소) 중점 개선 중이다.

 

상습 정체구간 소통 합리화 계획캐치프레이즈: 조금 늦더라도 안전이 우선! 안전을 지킨 시간 출퇴근 정체 해소로 돌려드립니다.

 

시행 후 6개월간(2.218.21) 정체교차로 89개소를 개선한 결과, 평균 정체시간이 68.8(127.658.8, 53.9%) 단축됐고 그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연간 약 2,896.7억원 가량 발생했으며, 전체 개선시 45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구분 정체시간 통과시간 통과속도 경제적효과(억원/)
개선 후 58.8 443 28.4km/h 2,896.7
개선 전 127.6 826 18.8km/h -
대비(%) 68.8분 감소
(53.9%)
343초 감소
(44.1%)
+9.6km/h
(51.1%)
-

 

특히 지자체도로교통공단 등 유관기관과 현장 합동진단을 통해 주요 정체 교차로의 통행량 등을 고려한 신호체계 변경, 변화된 교통여건을 반영한 차로운영 조정 등 맞춤형 개선방안을 발굴적용하며 개선활동을 추진 중이다.

 

퇴근시간대 대표적 정체구간인 삼성삼거리(수원-용인 경계) 경우, 교통량에 따른 신호체계 변경 및 좌회전 대기차로를 연장한 결과 통과시간이 평균 345초 가량 빨라지고 정체시간은 최대 1시간 30분이 단축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삼성3R 개선효과

 

통과시간 출근 336(10624) 퇴근 354초 단축(1066)

 

통과속도 출근 46.8%(12.6km/h18.5km/h) 퇴근 62.9% 증가(12.4km/h20.2km/h)

 

정체시간 출근 1시간(1시간3030) 퇴근 1시간30분 단축(2시간301시간)

 

출근 07:3009:0008:2008:50 / 퇴근 16:3019:0017:3018:30

 

운행비용환경비용 절감 등 493.9억원의 경제적 효과 발생

 

수원여객 3번 버스기사 A씨는 삼성삼거리는 정체가 당연시 되는 곳이었는데 요즘 소통이 많이 좋아지고 운행시간이 단축돼 운전 피로감이 줄었다는 의견을 나타냈고 모범운전자회 회장 B씨는 교통봉사 근무 때마다 꼬리물기가 심해 운전자와 시비도 많았는데 최근에는 교통정체가 많이 좋아져 근무가 수월해졌다며 반기는 등 대다수 주민들이 이전에 비해 출퇴근 통행이 원활해져 만족스럽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경기남부경찰청 관계자는 경기도는 서울과 지방을 연결하는 관문으로 지역 특성상 통과 차량들이 많고, 신도시 개발로 인한 인구와 차량 증가율이 높아 교통소통 관리에 어려움이 있지만 주민들의 불편사항을 청취하고 유관기관과 협업하며 최선의 개선방안을 마련, 정체구간 개선활동을 신속히 추진하고 가시적 교통관리를 병행하는 등 주민들의 출퇴근 편의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