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정신건강복지센터]부설. 자살예방센터
건강한 미디어 환경을 위한 극단적선택 보도 권고기준 3.0 배포
"구리시정신건강복지센터 부설. 자살예방센터"는 극단적선택에 대한 인식개선을 통해 생명존중문화를 조성하고 극단적선택 고위험군 조기발견 및 치료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구리시민의 극단적선택 예방을 위해 극단적선택 권고기준 3.0 확산을 통해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극단적선택을 유도하면서 극단적선택 예방 및 극단적선택 위험정보의 유통을 감소시켜 극단적선택율을 낮추기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극단적선택 보도 권고기준 3.0 전문)
♦극단적선택 보도에는 사회적 책임이 따릅니다.
'극단적선택 보도 권고기준 3.0'은 극단적선택 보도의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언론과 개인이 극단적선택 예방에 동참할 것을 권유하기위해 마련한 기준입니다.
이 기준은 신문, 방송, 인터넷 매체를 포함한 모든 미디어와 경찰과 소방 등 국가기관, 그리고 개인의 사회 관계망 서비스 계정(SNS), 블로그,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도 유의해야 하는 기준입니다.
♦잘못된 극단적선택 보도는 사람을 죽게 할 수도 있습니다.
극단적선택 보도는 모방 극단적선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극단적선택의 동기나 방법, 도구, 구체적인 장소 등을 보도하면 막연하게 극단적선택을 고민하던 사람들에게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 또는 장소에서 극단적선택을 실행하도록 부추길 수 있습니다. 극단적선택 원인을 단정하는 보도는 비슷한 처지의 사람들에게 극단적선택을 하나의 대안으로 선택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유명인의 극단적선택 보도는 파급효과가 크므로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극단적선택 보도 방식을 바꾸면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극단적선택 보도 권고기준 2.0' 발표 이후 언론의 극단적선택 보도 방식이 변화하면서 극단적선택률은 꾸준히 감소하였습니다. 극단적선택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관이나 활동을 소개하면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극단적선택 보도 권고기준 3.0 5가지 원칙)
♦기사 제목에 ‘극단적선택’이나 극단적선택을 의미하는 표현 대신 ‘사망’, ‘숨지다’ 등의 표현을 사용합니다.
♦구체적인 극단적선택 방법, 도구, 장소, 동기 등을 보도하지 않습니다.
♦극단적선택과 관련 된 사진이나 동영상은 모방 극단적선택을 부추길 수 있으므로 유의해서 사용합니다.
♦극단적선택을 미화하거나 합리화하지 말고, 극단적선택으로 발생하는 부정적인 결과와 극단적선택 예방 정보를 제공합니다.
♦극단적선택 사건을 보도할 때에는 고인의 인격과 유가족의 사생활을 존중합니다.
►유명인 극단적선택 보도를 할 때 이 기준은 더욱 엄격하게 준수해야 합니다
*본지는 자살이라는 용어대신 극단적선택이라는 용어로 기사를 작성. 하였습니다. 따라서 원문과 달리 일부 어휘(용어)가 틀리지만 이는 극단적선택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기사를 작성했기에 알려드립니다